2014/02/28

#4. 안드로이드 개발: 프로젝트 구조 알아보기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구조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보면 소스코드, 생성파일, 리소스를 트리 형태로 정리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큰 틀은 src, gen, res, AndroidManifest.xml 입니다. 

 src는 자바를 다룰때 이미 익숙한 소스코드가 들어있는 폴더입니다. 자바와 행동양식이 같습니다. 

 gen은 ADT(Android Development Tool)에서 자동 생성한 소스코드가 들어있는 폴더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R.java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를 수정하면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전혀 터치하실게 없을 폴더입니다. 

 res는 말 그대로 리소스입니다. 레이아웃, strings 등이 정의된 xml 파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AndriodManifest.xml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정보가 정리되어있는 파일입니다. 권한, 보안 권한 등을 설정하게 되며, 액티비티의 허용여부도 여기서 정하게 됩니다. 액티비티 작업중 가장 흔한 에러의 원인이 매니페스트에 액티비티를 선언하지 않아 생기게 됩니다. 

 *) 안드로이드 개발 연재글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 집니다.
#1. 안드로이드 SDK 시작하기: SDK 설치, Eclipse 연동, Hello World 출력하기
#2. 안드로이드 SDK 시작하기: 프로젝트 생성
#3. 안드로이드 개발: 뷰(View), 액티비티(Activity)
#4. 안드로이드 개발: 프로젝트 구조 알아보기